과정명 | 교육사회학 | 지도교수 | 허은주 |
---|---|---|---|
수업방식 | 이론중심 | 학점 | 3학점 |
학습기간 | 2021-04-28 ~ 2021-08-10(총 15주) 학습목차 바로가기 | ||
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| 2021-08-25 | 성적보고 완료일 | 2021-08-31 |
학점인정신청 가능일(온라인) | 2021.10.01 - 2021.10.31 | 학위취득 | 2022년 2월 전기 |
중간 | 기말 | 과제 | 토론 | 쪽지 | 참여 | 출석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30점 | 30점 | 10점 | 5점 | 5점 | 5점 | 15점 |
학사 | 교양,일반선택,청소년학 전공 |
---|---|
전문학사 | 교양 |
A등급 | B등급 | C등급 이하 |
---|---|---|
20% ~ 30% | 30% ~ 40% | 30% ~ 50% |
구분 | 평가기간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
중간고사 |
2021-06-18 오전 10:00 ~ 2021-06-21 오후 10:00 |
1주차 – 7주차 (객관식 20문항, 주관식 5문항) |
|
기말고사 |
2021-08-06 오전 10:00 ~ 2021-08-09 오후 10:00 |
9주차 – 14주차 (객관식 20문항, 주관식 5문항) |
|
과제 |
2021-05-26 - 2021-06-29 (AM 10:00 – PM 22:00) |
||
토론 |
2021-07-23 - 2021-07-26 (AM 10:00 – PM 22:00) |
||
쪽지 |
2021-07-09 - 2021-07-12 (AM 10:00 – PM 22:00) |
||
참여 | 나의학습계획 |
2021-04-28 - 2021-05-18 (AM 10:00 – PM 22:00) |
|
소개서/중간평가 |
2021-06-23 - 2021-07-06 (AM 10:00 – PM 22:00) |
주차 | 학습내용 | 학습활동 |
---|---|---|
1 |
1차시. 인간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이해
[강의 주제] 인간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이해 [강의 목표] 1. 인간과 사회의 개념을 이해하여 설명할 수 있다. 2. 인간과 사회는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교육과 사회는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 2. 인간과 사회화의 관계 3. 교육과 사회와의 관계 |
|
2차시. 교육의 개념 및 목적과 기능
[강의 주제] 교육의 개념 및 목적과 기능 [강의 목표] 1. 교육의 개념과 의미를 이해하여 교육의 목적과 다양한 정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교육의 개념과 의미 2. 교육의 목적과 정의 3. 교육의 사회적 기능 |
||
2 |
1차시. 교육사회학의 개념 및 발달과정과 학문적 성격
[강의 주제] 교육사회학의 개념 및 발달과정과 학문적 성격 [강의 목표] 1. 교육사회학의 개념을 말할 수 있다. 2. 교육사회학의 발달과정을 절차에 맞게 기술할 수 있다. 3. 교육사회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교육사회학의 개념 2. 교육사회학의 발달과정 3. 교육사회학의 학문적 성격 |
|
2차시. 교육사회학의 연구방법 및 기능이론
[강의 주제] 교육사회학의 연구방법 및 기능이론 [강의 목표] 1. 교육사회학의 연구영역 및 연구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기능이론의 사회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교육사회학의 연구영역 및 연구방법 2. 기능이론의 사회관 |
||
3 |
1차시. 기능이론의 교육관
[강의 주제] 기능이론의 교육관 [강의 목표] 1. 기능이론의 교육관에 기초한 학교 교육의 기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기술기능주의의 정의 및 한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인간자본론의 정의 및 한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기능이론의 교육관과 학교 교육의 기능 2. 기술기능주의 3. 인간자본론 |
|
2차시. 갈등이론의 사회관과 교육관
[강의 주제] 갈등이론의 사회관과 교육관 [강의 목표] 1. 갈등이론의 사회관과 교육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갈등이론의 사회관 2. 갈등이론의 교육관 3. 기능이론과 갈등이론 비교 |
||
4 |
1차시. 현상학과 상징적 상호작용이론
[강의 주제] 현상학과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[강의 목표] 1. 미시적 접근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현상학의 개념을 말할 수 있다. 3. 상징적 상호작용의 개념을 이해하여 그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미시적 접근이론 2. 현상학의 개념 3. 상징적 상호작용의 개념 |
|
2차시. 상징적 상호작용과 민속방법론
[강의 주제] 상징적 상호작용과 민속방법론 [강의 목표] 1. 상호작용이론과 관련된 교육현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민속방법론의 개념과 연구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상호작용이론과 관련된 교육현상 2. 민속방법론의 개념 및 연구방법 |
||
5 |
1차시. 사회계층과 계급의 개념 및 관점과 특징
[강의 주제] 사회계층과 계급의 개념 및 관점과 특징 [강의 목표] 1. 사회계층과 계급의 개념을 말할 수 있다. 2. 계층에 대한 관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계층을 분류하고 그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사회계층과 계급의 개념 2. 계층에 대한 관점 3. 계층의 분류와 특징 |
|
2차시. 사회이동 및 교육의 기능과 사회이동
[강의 주제] 사회이동 및 교육의 기능과 사회이동 [강의 목표] 1. 사회이동의 유형과 원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교육의 기능과 사회이동에 관한 다양한 관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사회이동 2. 교육의 기능과 사회이동 |
||
6 |
1차시. 교육선발의 의미와 관점 및 선발이론
[강의 주제] 교육선발의 의미와 관점 및 선발이론 [강의 목표] 1. 교육선발의 의미를 이해하여 교육선발과 관련된 관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교육선발이론 중 터너의 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교육선발의 의미와 관점 2. 교육선발이론 : 터너의 이론 |
|
2차시. 교육선발이론과 불평등 및 우리나라 선발제도
[강의 주제] 교육선발이론과 불평등 및 우리나라 선발제도 [강의 목표] 1. 교육선발이론 중 호퍼의 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교육선발을 통해 나타난 여러 국가의 불평등 사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우리나라 입시선발제도의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교육선발이론 : 호퍼의 이론 2. 교육선발을 통한 불평등 3. 우리나라 입시선발제도의 특징 |
||
7 |
1차시. 신자유주의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 및 교육정책
[강의 주제] 신자유주의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 및 교육정책 [강의 목표] 1. 신자유주의가 등장하게 된 역사적 배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신자유주의 시장의 의미를 이해하여 신자유주의가 추구하는 교육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신자유주의의 교육정책 중 교원정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신자유주의의 역사적 배경 2. 신자유주의 시장의 의미와 교육 3. 신자유주의와 교육정책 |
|
2차시. 신자유주의 교육정책과 문제점
[강의 주제] 신자유주의 교육정책과 문제점 [강의 목표] 1. 신자유주의 교육정책 중 학교선택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의 문제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신자유주의 교육정책 2.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의 문제점 |
||
8 |
중간시험
범위 : 1주차~7주차 |
정기시험 |
9 |
1차시. 평등의 의미와 관점 및 교육평등의 변천과정
[강의 주제] 평등의 의미와 관점 및 교육평등의 변천과정 [강의 목표] 1. 평등의 의미와 관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교육평등관의 유형(허용적 평등, 보장적 평등, 교육조건의 평등, 교육결과의 평등)과 변천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평등의 의미와 관점 2. 교육평등의 변천과정(교육평등관) ① |
|
2차시. 교육평등의 변천과정과 교육정책
[강의 주제] 교육평등의 변천과정과 교육정책 [강의 목표] 1. 롤스와 콜만의 평등관에 대해 이해하고 능력주의와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. 2. 수월성 교육과 평준화 교육의 등장 배경 및 특성을 파악하고 고교 평준화 정책의 성과와 문제점, 향후 과제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교육평등의 변천과정(교육평등관) ② 2. 교육평등과 교육정책 |
||
10 |
1차시. 학업성취 격차요인
[강의 주제] 학업성취 격차요인 [강의 목표] 1. 학업성취의 격차 현상과 교육 · 사회 불평등의 관련성을 논의할 수 있다. 2. 학업성취 격차의 결정요인을 학교 내 요인과 학교 외 요인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학교 내 요인 2. 학교 외 요인 |
|
2차시. 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과 교육열
[강의 주제] 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과 교육열 [강의 목표] 1. 학생-교사의 상호작용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그에 따른 학업성취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. 2. 교육열의 정의 및 학력의 도구적 · 질서적 · 상징적 가치에 대해 파악하고 학력사회가 지향하는 가치를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학생-교사의 상호작용 2. 교육열 |
||
11 |
1차시.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 Ⅰ
[강의 주제]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 Ⅰ [강의 목표] 1. 교육과정사회학의 지식관의 특징과 발전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사회이념의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의 우선순위 변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교육과정사회학의 발전 2.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 ① |
|
2차시.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 Ⅱ
[강의 주제]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 Ⅱ [강의 목표] 1. 재생산이론(경제재생산과 문화재생산 이론)을 주장한 대표적 학자를 열거하고 그 주장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 ② |
||
12 |
1차시.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 Ⅲ
[강의 주제]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 Ⅲ [강의 목표] 1. 학교 교육과정 속에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가 잠재적으로 반영되어 있음을 다양한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 ③ |
|
2차시.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 Ⅳ
[강의 주제]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 Ⅳ [강의 목표] 1. 윌리스의 저항이론 개념과 번스타인의 교육과정 분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지식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사회학의 시사점을 파악하고 교육과정사회학의 연구방향에 대해 비판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회적 성격 ④ 2. 교육과정사회학의 시사 및 비판 |
||
13 |
1차시. 다문화와 다문화 교육
[강의 주제] 다문화와 다문화 교육 [강의 목표] 1. 다문화의 의미를 이해하고 대표적 다문화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다문화 교육의 개념과 영역, 구성 내용 및 방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다문화의 개념과 다문화이론 2. 다문화 교육 |
|
2차시. 대안학교와 홈스쿨링
[강의 주제] 대안학교와 홈스쿨링 [강의 목표] 1. 대안교육의 개념을 이해하고 국내외 대안학교의 해결해야 할 과제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. 2. 홈스쿨링의 의미와 등장배경, 특징을 파악하고 미국, 영국, 일본, 한국의 홈스쿨링을 비교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대안학교 2. 홈스쿨링 |
||
14 |
1차시. 평생교육의 개념 및 등장배경과 필요성
[강의 주제] 평생교육의 개념 및 등장배경과 필요성 [강의 목표] 1. 평생교육의 개념 및 특성, 이념과 목표를 이해하고 평생교육과 학교교육을 비교할 수 있다. 2. 평생교육의 등장배경과 필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평생교육의 개념 2. 평생교육의 등장배경과 필요성 |
|
2차시. 평생학습사회와 평생학습도시 및 한국의 평생교육 체제
[강의 주제] 평생학습사회와 평생학습도시 및 한국의 평생교육 체제 [강의 목표] 1. 평생학습사회와 평생학습도시의 개념을 파악하고 설명할 수 있다. 2. 한국의 평생교육 관련법과 제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평생학습사회와 평생학습도시 2. 한국의 평생교육체제 |
||
15 |
기말시험
범위 : 9주차~14주차 |
정기시험 |